-
06. kibana 를 활용한 elasticsearch 모니터링Elasticsearch 2022. 4. 3. 23:53반응형
kibana를 활용하여 elasticsearch에서 사용되는 정보들(nodes, indices, JVM heap, memory 등) 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http://192.168.0.2:5602/ 에 접속합니다.( port 정보를 수정하지 않으셨다면 5601로 접속하여 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접속이 되면 우측메뉴 하단에 monitoring을 클릭하여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표출됩니다. 그러면 Turn on monitoring 버튼을 클릭하여 줍니다.
아래와 같이 표출되면 모니터링 정보가 생성되고 있는것을 1~2분 기다려줍니다.
모니터링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이되면 아래와 같이 표출됩니다.
version, node 정보, Index에 관한 간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를 모니털이 하기 위해 Elasticsearch 아래에 있는 Overview 버튼을 클릭하여 줍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nodes, indices, memory, shards, 색인되는 양(초당), 지연시간(ms) 등의 전체적인 elasticsearch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는 30초 간격으로 정보를 갱신하여 표출하여 줍니다.)
다음으로 Nodes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노드에 관한 정보를 표출하여 줍니다. 현재는 1개의 Node만 존재합니다. Node의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Node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해당 Node의 JVM, Index, Shard 정보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상단의 Advanced 버튼을 클릭하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GC는 Garbage Colleciton 의 약자로 메모리에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지우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될거같습니다.
다음으로 Indices 버튼을 클릭하면 Index 리스트가 표출이되고, Index name을 클릭하면 해당 Index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dex의 name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표출됩니다.
상단의 Advanced 버튼을 클릭하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elasticsearch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kibana monitoring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어서 앞으로도 자주 사용할거 같다.
현재 Documents 수의 증가하고 search rate 그래프 0/s 가 아닌 이유는 아마도 로그가 지속적으로 쌓이이기 떄문인거 같다.
아래와 같이 .monitoring-es-6-2022.04.03 라는Index가 생성이 되었고, 생성된 index에 지속적으로 데이터가 쌓이고 있다.
향후에 로그정보가 문제가 될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search API) 데이터 조회/입력/수정/삭제 하기 (0) 2021.12.22 04. 키바나(kibana) 설정 (포트변경 및 외부 접속 허용/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연동) (0) 2021.12.20 03. 키바나(kibana 6.x) 설치 (Linux centos 7) (0) 2021.12.20 02.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외부 접속 허용 및 포트변경 (Linux Centos7) (0) 2021.12.17 01.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6.8 설치 (Linux Centos7) (0)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