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리눅스마스터
리눅스 마스터 1급 준비
oCless
2021. 6. 21. 15:17
리눅스마스터 자격증이란?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orea Association for ICT Promotion, KAIT)에서 주관하는 국가공인인증 시험으로, 1급/2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1급에서는 리눅스 기반 시스템의 관리능력을 평가하고, 2급에서는 리눅스 운영시스템의 프로그램 사용능력을 평가합니다.
취득하고자하는 이유
- CLI(command Line Interface, 명렬줄 인터페이스) 환경 친숙해지기
- 개발환경 셋팅 시 리눅스 기반으로 설치
- 네트워크의 이해도 높이기(개발자라고 코딩만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때때로 네트워크환경에 대해 알아야 함..)
- 정보보안기사를 취득을 위한 발판(바로 정보보안기사 하니 공부가 안됨...)
- 리눅스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도서 선정
- 리눅스의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 책 구매하기로 결정, 이기적 리눅스마스터 책으로 선정
- centos 7 반영
- 각 단원별 상세한 설명
가까운 교보문고에 있어서...
시험을 위한 준비
- 1년에 두번 있는 시험으로, 하반기 시험(1차 : 9월 11일, 2차 : 11월 13일) 중 1차 시험까지 2개월 반 정도의 시간이 남음 (약 73일)
- 직장인으로써, 시간을 만들기 힘들다. 하지만 퇴근 후 1 시간, 기상 후 1시간 정도 공부할 수 있도록 시간을 만들어야 한다. (힘든날은 한페이지 라도 읽자)
- 공부는 체력이다. 일주일에 최소 2번은 달리기 실시해야 한다. (런데이 어플 활용)
- 주말에는 그 주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여 블로그에 작성한다.
정기검정 일정
종목 | 등급 | 회차 | 차수 | 접수일자 | 시험일자 | 합격자발표 |
리눅스마스터 | 1급 | 2101회 | 1차 | 01.26.(화) ~ 02.05.(금) | 03.13.(토) | 04.02.(금) |
2차 | 04.05(월) ~ 04.16.(금) | 05.08(토) | 05.28.(금) | |||
2102회 | 1차 | 07.26.(월) ~ 08.06.(금) | 09.11.(토) | 10.01.(금) | ||
2차 | 10.04.(월) ~ 10.15.(금) | 11.13.(토) | 12.03.(금) | |||
2급 | 2101회 | 1차 | 01.25.(월) ~ 02.03.(수) | 01.26.(화) ~ 02.04.(목) | 시험종료 즉시 | |
2차 | 01.26.(화) ~ 02.05.(금) | 03.13.(토) | 04.02.(금) | |||
2102회 | 1차 | 04.26.(월) ~ 05.05.(수) | 04.27.(화) ~ 05.06.(목) | 시험종료 즉시 | ||
2차 | 04.27.(화) ~ 05.07.(금) | 06.12.(토) | 07.02.(금) | |||
2103회 | 1차 | 07.26.(월) ~ 08.04.(수) | 07.27.(화) ~ 08.05.(목) | 시험종료 즉시 | ||
2차 | 07.27.(화) ~ 08.06.(금) | 09.11.(토) | 10.01.(금) | |||
2104회 | 1차 | 10.25.(월) ~ 11.03.(수) | 10.26.(화) ~ 11.04.(목) | 시험종료 즉시 | ||
2차 | 10.26.(화) ~ 11.05.(금) | 12.11.(토) | 12.31.(금) |
시험 범위
등급 | 과목 | 검정항목 | 검정내용 |
1급 |
리눅스 실무의 이해 | 리눅스의 개요 | 운영체제의 개요, 리눅스 기초 |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 리눅스와 하드웨어, 리눅스의 구조, X 윈도우, SHELL, 프로세스 | ||
네트워크의 이해 | 네트워크 기초 및 설정 | ||
리눅스 시스템 관리 | 일반 운영관리 | 사용자·파일 시스템·프로세스·S/W 설치 및 관리 | |
장치 관리 | 장치의 설치 및 관리, 주변장치 관리 | ||
시스템 보안 및 관리 | 시스템 분석, 시스템 보안 및 관리 | ||
시스템 백업 | |||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 네트워크 서비스 | 웹·인증·파일·메일·DNS관리(설치 및 설정), 가상화 관리 및 기타 서비스 | |
네트워크 보안 | 네트워크 침해 유형 및 특징 | ||
대비 및 대처 방안 | |||
2급 |
리눅스 일반 | 리눅스의 이해 | 리눅스의 개요, 역사, 철학 |
리눅스 설치 | 기본 설치 및 유형,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 Boot Manager | ||
기본 명령어 | 사용자 생성 및 계정 관리, 디렉터리 및 파일, 기타 명령어 | ||
리눅스 운영 및 관리 |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 | 권한 및 그룹 설정, 파일 시스템의 관리 | |
Shell | 개념 및 종류, 환경 설정 | ||
프로세스 관리 | 개념 및 유형, 프로세스 Utility | ||
에디터 | 에디터의 종류, 에디터 활용 | ||
소프트웨어 설치 | 개념 및 사용법,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 | ||
장치 설정 | 주변장치 연결 및 설정, 주변장치 활용 | ||
리눅스 활용 | X 윈도 | 개념 및 사용법, X 윈도 활용 | |
인터넷 활용 | 네트워크의 개념,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 인터넷 서비스의 설정 | ||
응용분야 | 기술동향, 활용기술 |
독학 후기 (학습 후 올리기.)
반응형